
브라질 외무장관이 유럽연합(EU)이 검토하고 있는 산림파괴에 의해 생산된 농산물 등의 수입을 금지하는 방안에 대해 '보호무역'이라며 '근시안적'이라고 비난했다.
또한 프랑스를 지명해 농가에 대한 보조금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29일 파이낸셜타임즈에 따르면 카를루스 프란스 브라질 외무장관은 "한경을 보호무역의 한가지 형태로 이용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 소비자와 무역의 흐름에 좋지 않다"며 "EU는 근시안적이다"라고 비난했다.
EU는 11월 쇠고기, 대두, 팜유, 커피, 코코아, 목재 등을 EU에 수입하는 기업에 대해 상품이 2020년 이후 삼림 벌채나 삼림 연화가 진행된 토지에서 생산되지 않았다는 증명을 의무화한다.
그러나 브라질은 이번 의무화 대상 품목을 유럽에 많이 수출하는 주요 수출국이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이 이끄는 현 브라질 정부는 EU와의 장기에 걸친 긴장관계가 재현되고 있다.
또한 브라질 국내 아마존 열대우림의 소실 면적이 지난 15년간 최대가 됐다는 위성 데이터가 발표됐다. 브라질 국립우주연구소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7월까지 12개월간 1만3200제곱킬로미터 이상의 산림이 사라졌다. 런던시(그레이트 런던)의 면적 8배 이상에 해당한다. 전년동기대비 22% 증가해 2006년 이후 최대가 됐다.
브라질은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죈 제26회 유엔기후변화틀조약체약국회의(COP26)로 오는 2028년까지 불법벌채를 근절하고, 2050년까지 온난화가스 배출을 실질적으로 제로로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있다.
반면 프란스 외무장관은 이에 대해 "놀랍다"면서도 7월 이후 개선되고 있다면서 "실제로는 그리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브라질 국립연구소에 따르면 삼림화재 건수는 전년동기대비 28% 감소했다.
프란스 외무장관은 "우리는 문제를 숨길 생각이 없다"며 "위법 벌채는 많은 경우 노동법 위반이나, 탈세, 자금세정 등 다른 범죄와 관련이 있다"며 "경찰이 담당하는 사안으로 취급하고 있어 성과도 오르고 있다"고 해명했다.
[ⓒ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