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터키, 아르메니아인 학살 문제 놓고 갈등

ISSUE / 윤승조 기자 / 2021-04-26 11:40:22

미국과 터키가 아르메니아인 학살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우리는 오스만제국 시대에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로 숨진 모든 이들의 삶을 기억한다"며 "미국 국민은 106년 전 오늘 시작된 집단학살로 목숨을 잃은 모든 아르메니아인을 기리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에서 아르메니아계 미국인의 요구를 수용해 집단학살로 인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또한 이날 바이든 대통령의 성명에서는 집단학살(genocide)라는 표현을 두 번 사용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 사건을 집단학살로 규정한 마지막 미국 대통령은 1981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으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재임 시 "20세기 최악의 참사 중 하나"라고 표현했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세기 최악의 집단 잔혹 행위의 하나"라는 표현을 썼다.




아르메니아인 학살 문제 19세기 오스만제국의 탄압




아르메니아인 학살 문제는 터키의 전신인 오스만 제국 당시 벌어진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학살과 추방 등으로 인해 대규모 학살자가 발생한 일을 말한다.


19세기 말 오스만 제국에 거주하던 약 200만 명의 아르메니아인들은 민족주의적 열망을 표출했고, 이 과정에서 주로 쿠르드 족이던 오스만 제국 내 비정규군의 탄압으로 1894~1896년 사이 수만 명의 아르메니아인이 학살을 당했다.


또한 이후 1차대전 당시 오스만제국과 러시아군과의 대립에 마수의 아르메니아인이 러시아군을 지원하기 위한 단체를 결성했고, 이후 오스만제국은 1915년 4월 24일 수백 명의 아르메니아 지식인을 체포하고 살해했다.


또한 이후 오스만제국은 아르메니아인의 대규모 추방작업을 시작해 약 150만명의 아르메니아인이 목숨을 잃었다.


반면 1923년 오스만제국이 몰락한 후 탄생한 터키는 아르메니아인 학살을 위한 조직적인 노력이 있었다는 점을 부인하고 있다.


터키와 아르메니아는 지난 2009년 적대를 종식하기 위해 평화협정에 서명하기도 했지만, 지난 2018년 아르메니아는 이 합의를 공식 철회했다.




터키 반발 "정치화 누구에게도 득 되지 않을 것"




바이든 대통령의 집단학살 인정에 터키는 미국이 논란을 정치화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날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역사학자들이 다뤄야 할 논쟁"이라며 "제삼자가 정치화하거나 터키에 대한 간섭의 도구로 이용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득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터키 외무부도 성명을 통해 "미국 대통령의 성명을 강력히 거부하고 비판한다"며 "학문적·법적 근거가 없고, 어떤 증거로도 뒷바침되지 않는다는 것이 분명하다"고 전했다.


또한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도 제1차 세계대전 무렵 오스만 제국의 아르메니아인 학살을 집단학살로 공식 인정한 바이든 대통령의 결정을 "역사적 실수"라고 비판했다.


아제르바이잔 측은 성명에서 "알리예프 대통령이 그것(바이든 대통령의 집단학살 인정)을 역사적 실수라고 규정했다"면서 "대통령은 아제르바이잔은 이 같은 인정을 수용 불가능한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밝혔다.


아제르바이잔 외무부도 이날 "바이든 대통령의 성명은 1915년 사건에 관한 역사적 사실들을 왜곡했다"면서 "소위 '아르메니아인 학살'을 정치화하는 자들은 당시 아르메니아인 무장 세력에 의한 50만명 대량학살, 1918년 아제르바이잔 바쿠와 다른 지역들에서 '다슈낙'(아르메니아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에 의해 자행된 대량학살 등에 대해서는 침묵한다"고 지적했다.


알리예프 대통령은 이날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바이든 대통령의 집단학살 인정 문제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터키와 아제르바이잔은 모두 튀르크 민족이 세운 국가로 양국 국민은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상대방을 형제국가로 인식한다.


[ⓒ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