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으로 인한 경제 침체로 지방권과 도시권의 차이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인구 15만명 미만의 중소도시와 읍면에서 가구 소득화 소비의 침체가 2020년 가을 무렵부터 심해져 지난 1월에는 전년동월 대비 10% 감소했다.
또한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민간기업의 종업원 전체의 80% 이상이 코로나19에 따른 경영 부진으로 인해 가계에 피해가 미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이 시작한 지난해 3월 이후 전국 2인 이상 근로자 가구에 의한 소비지출은 10~11월을 제외하고 전년동월을 밑돌았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두 번째 긴급사태가 선언된 지난 1월은 전년동월 5% 감소했다.
도쿄 23구 및 정령 지정 도시를 대도시로, 인구 15만 명 이상의 도시를 중도시, 15 만명 미만 도시를 소도시로 분류한다.
총무성의 가계 조사에 따르면 소비 지출에서 보면 소도시와 읍면은 2020년 10월 이후 침체가 더 강해졌다. 또한 2021년 1월의 소도시나 읍면은 10% 감소한 반면, 대도시는 0.3%, 중도시는 3% 감소했다.
감염의 확산 자체는 소도시나 읍면보다 대도시가 크지만 소비의 침체 정도는 소도시가 보다 심각했다.
신문은 소비의 침체가 가계 소득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직장 소득에서 소도시·읍면은 2020년 6월부터 마이너스로 추이됐다. 겨울에 걸쳐 침체 폭이 넓어지고, 지난 1월에는 8% 가량 감소했다. 반면 대도시는 2018년 8월 이후 전년 동월을 상회하고 있다. 중도시 2020년 11월부터 마이너스로 추이하고 있지만, 지난 1월의 감소폭은 2%에 그쳤다.
이는 대도시보다 소도시에 중소기업의 비율이 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도시별 중소기업 근무 비율이 80% 미만인 것은 도쿄(41%), 오사카(67%), 아이치(71%) 등의 대도시를 포함한 8도부현 뿐으로 비율이 가장 높은 돗토리현이나 나라현은 94%를 차지했다.
신문은 중소기업은 자금사정으로 인해 직원의 임금을 낮추며 코로나19 여파에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재무부의 법인기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인건비는 코로나19의 영향 밖이었던 2019년 4분기에 비해 15%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도 4% 감소해, 대기업(3% 감소)에 비해 침체가 컸다.
또한 지방에서는 코로나19 재난이 직격한 관광산업이 지역경제에 중심인 곳도 많다. 오키나와, 야마나시, 쿄토 등 3부현과 토호쿠 지방, 큐슈 등 관광산업의존도가 높은 지역도 침체가 두드러졌다.
[ⓒ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