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는 스트타업의 혁신성과 대기업의 글로벌 인프라를 결합해 상생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중기부는 16일 열린 '제18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협업과제를 제안해 해결하며 최적의 협업대상을 찾을 수 있도록 연결하는 상생협력 정책인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그간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최적의 협업파트너를 찾기가 어렵다 보니 기존 거래사 또는 사내벤처 등 대기업의 내부 자원으로 협업대상이 한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을 활용해 사내 자원만을 중심으로 협업하던 ‘사내벤처’ 개념을 외부 스타트업과 협업할 수 있도록 상생협력 생태계 전체를 아우를 수 있도록 확장하겠다는 것이 중기부의 방안이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을 개정해 ‘사내벤처 육성’과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을 쌍두마차로 대기업-스타트업간 상생협력 추진체계를 마련한다.
또한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사업수요가 많고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빅데이터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문제와 4차 산업혁명 문제를 중점 추진분야로 설정하고 관련 과제를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문제의 경우, 스타트업들이 그간 공공영역에서 확보하기 어려웠던 산업 현장의 수준 높은 데이터를 대기업이 제공해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상호 협업하고자 하는 문제를 상시 발굴 하고 선별하기 위한 체계도 구축한다.
대기업·선배벤처 등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문제발굴 공고를 실시해 접수받을 수 있는 전담 체계를 구축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기존의 대기업-스타트업 네트워크를 활용한 상시 문제 발굴도 병행한다.
대기업이 제안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타트업도 대기업이 생각하지 못한 사업모델을 제시하는 등 쌍방향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접수된 문제는 장기간 해커톤 방식을 통해 주기적으로 해결방안을 마련한다.
발굴된 문제들이 단기간내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인 점을 감안해 스타트업에게 2달 이상의 충분한 문제해결 시간을 부여하는 장기간( 해커톤 방식으로 진행되며 문제가 발굴된 현황을 고려해 분기별 또는 반기별로 개최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우수한 해결방안을 제시한 스타트업에게는 대기업과 정부의 후속지원을 연계해 실질적인 협업을 유도한다.
대기업은 스타트업이 구비하기 어려운 장비 등 내부 인프라 활용 및 추가데이터를 지원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추가 판로확보 지원과 투자 등을 연계한다.
정부는 대기업과 공동사업화 개발에 착수한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R&D), 사업화 자금 및 기술보증 등을 최대 25억원 규모로 연계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대기업-스타트업이 공정한 관계에서 협업할 수 있도록 기술 자료 임치·보호와 법률상담 등도 지원된다.
[ⓒ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