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공정경제 3법에 찬성하고 나섰다. 제1야당이자 보수정당의 수장이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는 기업규제안을 동의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는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김 위원장의 이색 행보의 배경은 두가지로 압축된다.
우선 그의 정치인생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경제민주화'의 실현이다. 그는 이를 위해 정파를 옮겨다닌 이른바 '경제민주화 4수생'이다.
경제민주화는 지난 1987년 헌법 개정 당시 119조2항에 포함된 조항에 등장한다.
'국가는 균형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과 적정한 소득의 분배를 유지하고,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을 방지하며,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를 위하여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
헌법개정에 참여했던 김 위원장은 이후 19대 총선과 18대 대선에서 보수정당의 선거참모로 참여해 '대기업 순환출자 의결권 제한' 등을 공약으로 내세우기도 했다. 이후 2016년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원장으로 '경제민주화 전도사'에 도전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4번째 도전도 만만치 않다. 당 내에서는 '트로이 목마' 아니냐는 비아냥이 나오기 시작했고,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과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 경제인들도 우려를 전했다.
심지어 20대 총선에서 '공정성장론'을 내세웠던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김 위원장의 행보를 비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번 행보를 정치적 논리로 폄하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우선 김 위원장은 경제민주화 실현을 위해 보수와 진보 진영을 오간 이력이 있다. 경제민주화 실현을 위해서는 '철새 정치인'으로 치부되더라도 누구와도 손을 잡겠다는 태도다.
국민의힘은 이러한 그의 이력과 신념을 알고도 총선 이후 무너진 당의 구원투수로 김 위원장을 영입했고, 이를 빌미로 그의 지도력을 흔들어서는 '낡은 보수당으로 회귀'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더 이상 보수지지층에만 매달려서는 향후 선거에서도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지적도 김 위원장의 이번 행보를 의미있게 만드는 부분이다.
그의 경제민주화 등 기업규제 정책은 선거 승패의 키를 쥐고 있는 중도층에서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 많고, 또한 해외 투기세력의 공격 우려 등 현재 우려되고 있는 내용을 수정한다면 보수 지지층에서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다. 여당의 지나친 '북한 바라기'에 지친 진보ㆍ중도 지지자들을 보수정당으로 끌어올 수 있는 이슈로도 충분히 매력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