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IPO 상장 절차 중인 40개사 정차 중단… 감독당국 조사 들어가

윤승조 기자

sng1016@atdaily.co.kr | 2021-08-25 14:21:49


중국에서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한 40곳의 상장절차가 중단됐다. 중국 증시에서 부정 척결을 목표로 중국 정부가 증권회사나 법률사무소 등을 연달아 조사하고 있기 때문.


25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상하이·심전증권거래소는 18~20일 42개사의 IPO 신청을 모두 중지했고, 25일 2개사만 재개했다. 신청 심사가 중지된 기업은 중 중국의 전기자동차기업과 비야디(BYD)의 반도체 사업 자회사 '비야디 반도체', 외과수술용 의료기기 개발업체 강소동성지혜의료과기, 바이오 의약 개발업체 화원생물기술 등이다.


신청 심사가 중단된 기업 중에서는 의약이나 하이테크 등의 성장기대가 높은 신흥기업이 대부분이었다. 40개사 중 34개사가 선전증권거래소 의 신흥기업 대상 시장인 창업판에 상장을 신청했고, 6개사는 상하이증권거래소의 하이테크 신흥기업 대상 시장인 과창판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바야디 반도체의 심사 정지에 대해서 선전증권거래소는 "발행체인 법률사무소가 증권감독관리위원회(이하 증감회)의 조사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7월 '법에 근거해 증권 위법행위를 단속하는 의견'에서 위법행위의 예외를 인정하지 않는 '불관용'정책을 취한다고 밝혔던 바 있다. 내부자거래 등 부당매매 분식회계 등이 잇따르면서 일반 투자자들의 불만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증감회는 부정행위 혐의가 있는 증권사와 투자자, 로펌 및 감사법인 등을 잇달아 조사하고 있다. 40개사의 IPO 절차는 모두 증감회의 조사를 받은 로펌과 자산평가회사, 증권사, 회계사무소가 관련돼 있다.


한편 중국에서의 IPO는 지난해 이후 급증하고 있다. 미·중 갈등이 격화되면서 반도체·의료기기 등 특정품목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상황에 위기감을 느낀 중국 정부 당국이 증시를 통해 자국 기업의 육성을 서둘렀기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지난 2019년 상하이증권거래소에 하이테크 신흥기업을 위한 시장인 과창판을 개설하기도 했다.


[ⓒ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