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금융 완화의 장기화 대비 정책 "향후 몇 년간 금융 완화 정책 기본 지침 될 것으로 기대"
윤승조 기자
sng1016@atdaily.co.kr | 2021-03-29 15:05:57
일본은행이 지난 18~19일 개최된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정리했다. 금융 완화의 장기화를 대비한 정책 점검에 대해 "향후 몇 년간 금융 완화 정책의 기본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또한 금융 기관의 수익성 악화와 과도한 자산 가격 상승 등의 부작용을 완화 대책을 도입했다.
29일 일본은행에 따르면 상장지수펀드의 매입방법에서 원칙이었던 연 6조엔의 기준을 삭제했다. 또한 주가 상승의 국면에서 구입을 보류하고, 시장 혼란시 적극적으로 매입할 방침이다.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는 "필요할 때 동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을 명확히 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금융 완화의 후퇴로 오해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존재했다.
또한 저금리의 장기화에 따르면 부작용에 대해서도 의견이 잇따랐다. 금리 인하 시의 대응이나, 장기 금리의 변동 폭을 명확히 하는 등 투명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장기 금리의 변동폭의 목표를 0.25% 내외로 명시하는 것에 대해 '시장이 가진 가격 안정화 기능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일찍 물가 안정 목표를 달성해 금융 완화의 부작용을 억제하는 최선의 처방' 등의 평가가 있었다.
장래의 물가에 대해서는 견해가 엇갈렸다. '외국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인플레이션보다, 디플레이션이 더욱 위험하다', '애프터 코로나의 물가 동향은 상하 양방향의 위험을 검증할 필요가 높다' 등의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또한 미 장기 금리에 대해 '은행의 채권 수요가 왕성하게 됨으로써 상승이 제한적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가 있었다.
[ⓒ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