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도쿄 올림픽 관객 일본내 거주자 한정 대안 부상
윤승조 기자
sng1016@atdaily.co.kr | 2021-01-28 09:53:37
올해 예정된 도쿄 올림픽·패럴림픽의 관객에 대해 일본내 거주자에게만 한정한다는 대안이 떠오르고 있다.
28일 일본 미디어 일간스포츠에 따르면 일본내외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고, 새로운 코로나19 변이종까지 등장하자 올림픽 개최에 따른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이같은 안이 부상하고 있다.
일 정부와 도쿄시, 대회조직위원회는 지난해 12월 코로나19 대책 중간정리를 발표한 바 있다. 당시 해외 선수 대책에는 만전을 기하는 한편, 외국인 관중은 14일간의 격리면제, 대중교통 이용 허용 등을 골자로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유행 당시에도 일본 내에서는 프로야구와 j리그, 농구 등 많은 경기에서 관중을 들여 실시해 왔다. 그동안의 실적을 감안해 국내 거주자로 한정하면 올림픽에서도 관중을 둘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900억엔(한화 약 9,612억 원) 가량의 티켓 수입이 없어지는 무관객을 피하기 위한 의도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미 해외용으로 팔린 티켓에 대해서 논란이 된다. 이미 도쿄 올림픽·패럴림픽의 해외용 티켓은 100만장 가까이 판매됐다. 일간스포츠는 한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몇십만 명의 외국인 관객이 일본에 와서 감염이 퍼지면 정부는 책임을 질 수 있을 것인가? 술을 마시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소란을 피우면 국민도 불안해 할 것"이라고 호소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정부 내에서는 올림픽을 코로나19 유행이 종식된 이후의 인바운드 부활 계기로 삼고자 하는 이들도 있다. 감염상황이 진정돼 긴급사태선포가 해제되고, 백신접종이 시작되면 여론의 분위기도 달라진다는 판단으로 추측된다.
[ⓒ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