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경북 산불 피해지역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저지 긴급 대응 나선다
윤승조 기자
sng1016@the-eco.kr | 2025-04-03 14:40:55
환경부가 경북 산불 피해지역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저지 긴급 대응에 나선다.
3일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경북 산불 피해지역 일대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관리를 위해 '봄철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저지 긴급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저지선에 위치한 경북 구미·김천시, 칠곡·청도군과 충북 옥천·영동지역을 중심으로 야간에도 야생멧돼지 식별이 가능한 열화상 무인기와 위치정보시스템이 부착된 포획트랩을 전략적으로 재배치할 예정이다. 또한 5곳의 먹이터 조성으로 야생멧돼지를 유인해 집중 포획한다.
또한 사람의 출입이 어려운 구간에는 사람보다 약 만배 이상 뛰어난 후각으로 사체를 찾도록 특수 훈련을 받은 탐지견 12마리를 투입하여 폐사체를 효율적으로 수색해 오염원을 제거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지난달 29일부터 3일간 경북 지역 일대의 차단 울타리를 긴급 점검했으며, 화재로 인한 훼손 여부 등 추가 정밀점검을 통해 유지보수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농사철을 맞아 농식품부와 함께 양돈 농가 주변 농경지 토양, 물 등의 환경시료를 채취·분석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전파요인이 있는지 사전에 점검하고, 인위적 전파 가능성이 있는 수렵인, 엽견, 총기, 사체보관창고 등 매개체에 대한 집중 감시와 공동 역학조사를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야생멧돼지 포획 후 시료를 일정기간 모았다가 한꺼번에 의뢰하거나 시료를 나눠서 포상금을 중복으로 신청하는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표준행동지침을 개정할 계획이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대규모 산불과 본격 영농활동 등으로 질병 전파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라며 "과학적 기법 도입 등 맞춤형 대책을 추진하여 산불로 인한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최정록 농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은 "동시 다발 산불로 인한 야생멧돼지 생태 활동 변화가 농장 방역에도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라며 "농장 주변 소독·방역은 물론 환경부와 긴밀한 협력체계로 야생멧돼지 활동 감시를 통한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지난 2019년 10월 경기도 연천에서 처음 발생된 이후 경기, 강원, 경북 등 6개 시도 43개 시군으로 확산되다가 작년 6월 군위군을 끝으로 정체 중이다.
[ⓒ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